과학자는 과학만 잘하면 된다? 글쎄,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자신의 발견을 잘 전달하는것도 굉장히 중요하다.
전 포스팅에서 그리냐르에 대해 이야기 했다.
2020/02/11 - [화학 이야기] - 프랑스의 화학자 - 3. 그리냐르 시약? 빅토르 그리냐르 (Victor Grignard)
프랑스의 화학자 - 3. 그리냐르 시약? 빅토르 그리냐르 (Victor Grignard)
천문학자들은 처음 발견한 별에 자신의 이름을 붙인다. 물리학자, 수학자들은 증명한 이론에 자신의 이름을 붙인다. 그리고 화학자는 개발한 화학반응에 자신의 이름을 붙인다. 화학자들에게 있어 자신의 이름을..
chemisol.tistory.com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그리냐르가 만든 그리냐르 시약은 그의 스승인 Philippe Barbier 의 아이디어가 시초이다.
그는 1848 년 태어난 프랑스의 유기화학자이다. Organo-metallic chemistry에 큰 기여를 한 인물로, Babier reaction 을 처음 고안해 냈다. 개인적으로는 그의 능력에 비해 덜 알려진 화학자인데, 가장 큰 이유는 Girignard reaction을 만드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음에도 노벨상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Grignard 역시 자신의 노벨상 수상을 미루고 다음번에 Barbier와 같이 수상을 하고 싶다고 말하며 노벨상 선정의 정당성에 의문을 표했다.
“…to tell the truth, and between us, I would even have preferred to wait a little longer, to see the prize shared between Sabatier and Senderens, and then share it myself with Barbier at a later time”.
무슨 일이었던 걸까? Grignard reaction이라고 알려진 organo-magnesium 시약은 Grignard가 박사과정으로 Babier의 연구실에 들어오기 전에 이미 Babier 가 실험을 했고, 반응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다만 수율이 낮아 추가 연구가 필요한 상태였는데, Babier 는 이 작업을 Grignard 에게 맡긴다. Grignard 는 Babier가 시킨 일을 훌륭히 해냈고, 이 과정을 박사과정 졸업논문으로 쓴다. 그 후로도 Grignard는 연구를 거듭해 Grignard reaction 이 실제 유기 합성 반응에 쓰일 수 있도록 많은 application을 만들었다.
이때 노벨상 수상자 선정에 의문이 생긴다. Grignard reaction 이 세상에 나와서 쓰일 수 있었던 것은 분명 Grignard의 업적이지만, 그 씨앗은 Babier가 심었다고 볼수 있다. 노벨상은 공동 수상이 가능하므로, 두 사람 모두가 노벨상 수상자가 돼도 이상할 게 없다. 오히려 그게 맞다. 2019년 노벨 화학상 수상 주제는 리튬 베터리였는데, 리튬이온을 화학베터리로 이용할 개념을 다진 Stanley Whittingham, John B. Goodenough 와 리튬베터리를 최초로 상용화 시킨 Akira Yoshino 가 공동수상한 것을 보면, Babier 가 못받을 이유가 없다.
그렇기에 Babier 가 수상을 못한 이유에 대해서는 말이 많다. 그의 성격 역시 그 중 하나로 꼽히는데, 자료에 따르면 그와 '잘 지낼 수 있는' 과학자는 제자인 Grignard 와 동료 과학자 한명 뿐 이었다고 한다. 지금보다 훨씩 작았던 100년전의 화학계에서 평판이 이렇게 나빴다는 것이 노벨상 수상에서 제외된 이유라고 주장한다.
다른 주장으로는 그의 논문 문제다. 그가 쓴 Grignard reaction 에 대한 첫 논문은 재현 (reproduce)이 너무 어려웠다. 그가 만든 반응은 큰틀을 마련해 주었지만, 낮은 수율과 비재현성으로 인해 기여도가 떨어졌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는 오늘날 논문을 읽을 때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노벨상 위원회는 받지 못한 이유를 설명하지는 않기 때문에, 왜 Babier가 수상자에서 제외 되었는지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다. Babier 에게는 안타까운 일 이지만, 이 사건은 과학자에게 연구 이상으로 자신의 연구 결과 전달에 신경 써야 한다는 본보기로 남아 있다.
2020/02/13 - [PhD/etc] - 좋은 논문 쓰는 법
좋은 논문 쓰는 법
좋은 논문 "좋은 논문" 을 쓰는 것은 중요하다. literature project를 하다보면 느끼듯, 논문도 좋은 논문, 나쁜 논문이 있다. 물론 과학분야에서는 실험결과를 전달하는게 주 목적이기 때문에 어떤 발견을 했는지..
chemisol.tistory.com
'화학 이야기 > 프랑스의 화학자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랑스의 화학자 - 3. 그리냐르 시약? 빅토르 그리냐르 (Victor Grignard) (0) | 2020.02.11 |
---|---|
프랑스의 화학자 - 2. 같지만 다른 물질? 루이 파스퇴르 (Louis Pasteur). (0) | 2020.02.04 |
프랑스의 화학자 - 1.라부아지에, 근대화학의 아버지 (2) | 2020.02.02 |